복막 투석 원리 및 복막 투석액과 복막투석종류
1. 복막투석의 원리
- 확산(diffusion) : 반투과성 막인 복막을 경계로 농도의 차이에 의해 용질이 이동한다
- 대류(convection) : 용매의 이동에 동반하여 작은 크기의 용질이 이동한다.
- 한외여과 (ultrafiltration) : 삼투압 차이에 의하여 수분이 이동한다.
삽입한 복막투석 도관을 통해 투석액을 복강 내로 넣으면 몸속의 노폐물과 수분이 확산과 삼투 현상을 통해 투석액으로 빠져나온다.
-> 4~6시간 정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투석액이 복강 내에 머무는 동안 노폐물의 농도가 점점 증가하여 혈액 내 노폐물 농도와 투석액 내 노폐물 농도가 같아지게 된다.
-> 혈액과 투석액의 농도가 같아지는 포화상태 가 되어 노폐물이 더 이상 투석액 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면 복강 내 투석액을 배출하고 이어서 새로운 투석액을 복강 내로 주입한다.
2. 장/단점
장점: 기계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환자의 자율적인 치료 가능함.
혈액 투석에 비해 염분 및 수분의 섭취가 더 자유로움
염분과 수분제거가 서서히 일어나므로 혈역학적 부작용이 적음
콩팥 혈류의 감소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콩팥기능 보존에 유리함.
단점: 단백질의 손실이 심하며 영양실조의 가능성이 쉬움
포도당이 흡수되므로 당뇨병, 고지혈증 등의 대사성 부작용 가능성 높음
복막염 가능성이 높고 복막투성 카테터의 유지율이 낮음
3. 복막투석의 종류
1) 시간에 따라
- 간헐적 방법 : 일정 시간의 비료기, 비치료기를 반복한다.
- IPD (intermittent peritoneal dialysis) : 1주에 3~4회, 하루 10시간씩 투석하는 방법
- 지속적 방법 : 치료를 중단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투석을 시행한다.
2) 방법에 따라
- 수동화방법
- 자동화방법
(1) CAPD (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)
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약 2L 의 투석액을 매일 4회 정도 복강 내에 주입하여 4~10시간 동안 저류시키는 방법이다.. 대개 낮 동안 3회, 밤 동안 1회의 투석액 교환을 수동으로 시행한다.
(2) APD (automated peritoneal dialysis)
자동화된 기계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밤 동안 3~6차례의 투석액 교환을 시행하고 낮 동안 투석을 중단한다.
(3) NIPD (nightly intermittent peritoneal dialysis)
주간에는 투석액을 저류시키지 않고 매일 밤 8~12시간 동안 투석하는 방법이다. 밤 동안 3~6차례의 투석액 교환을 시행한다.
(4) CCPD (continuous cyclic peritoneal dia6 lysis)
낮에는 투석액을 교환하지 않고 장시간의 투석액 저류를 유지시키고 밤에 자동 순환기를 이용하여 4·5회 교환하는 방법이다.
4. 복막투석 도관 삽입술
[수술 전 간호]
-NPO
-18G line 확보, 예방적 항생제 확인
-배꼽부터 치골상부 1/3까지 skin prep
-아침식후 enema 시행
-검사 전 self voiding 확인/ foley여부 확인
-post KUB x-ray 확인
- 복막투석 도관 삽입술 동의서 확인
- 복대 준비
[수술 후 간호]
- 변비에방을 위한 medication : 복압 최소화 및 도관착상 위함
- catheter가 꼬이지 않도록 주의
- 심한 기침 하지 않도록 주의 (복압상승예방)
- leakage 가능성 때문에 2-4주 투석하지 않도록 함
5. 복막 투석액
①피지오닐(physioneal) 1.5%, 2.5%, 4.25%
:PH 7.4, 중탄산염 25mmol/L
포도당분해산물의 발생이 적음
②엑스트라닐 7.5%
:포도당 대신 아이코덱스트린이 들어있음
->포도당 보다 흡수가 천천히 일어나 최고 16hr까지 여과가 가능하며, 비만과 고지혈증을 예방 가능함.(당뇨환자의 혈당조절 우수)
( Ex.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시 보통 하룻밤 동안 그리고 자동복막투석 시 긴 낮 저류동안 사용이 권장된다.
③뉴트리닐
:포도당을 함유하지 않음, PH 6.7
:투석 시 유일하게 영양 공급가능 (아미노산 1.1% 함유)
:알부민 3.5g/dl함유되어 있음 -> 하루 한 백 사용 권장
④CAPD 1.5%,2.3%,4.25%-2L
:급,만성 신부전 환자의 복막 투석액
⑤Gambro A+B-2L, Gambro A+C-2L, Gambro A+B+C-2L
6. 카테터 관리
:항상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한다
카테터를 당기거나 꼬이지 않도록 한다
카테터 부위 소독은 매일 한다.
7. 복막염
①진단 (3가지 중 2가지 이상 존재 시)
-peritoneal inflammation 소견 시 (복부 동통 및 압통)
-혼탁한 복막투석액 (WBC > 100/mm3, neutrophil > 50%)
-관류액의 그람염색이나 균 배양검사에서 세균 검출 시
②간호중재
출구상태를 확인하고 V/S check.
증상확인 후 복통이 심하면 진통제 투여.
1.5% 투석액을 2회 연속으로 복강내 세척.
첫 배출액에서 검사물을 채취하여 cell count/culture 검사를 보낸다.
증상완화 후 투석교환과정 점검 및 필요시 환자 재교육실시
③초기 경험적 치료
-복막투석액 culture
-관류액을 2-3회 신속히 교환 (->급성 복통 완화)
-anti iV 또는 복강 내로 투여(culture 결과 나오기 전)
-> G(+): vacomycine or cephalosporin
G(-): cephalosporin or aminoglycoside
③항생제 치료에 반응이 없을 경우 도관 제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