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코로나위중증기준
- 백내장 금액
- 녹내장 수술비
- 응급실진료
- 격리해제일
- 독감 주사 가격
- 코로나격리해제증상
- 널스타그램
- 복막투석종류
- 백내장수술금액비교
- PDcath
- 코로나특성
- 공휴일소아과
- 원숭이두창바이러스예방방법
- 위중증기준
- 독감금액'
- 백내장 수술금액
- 복막투석액
- 예방접종금액
- 격리해제기준
- PDcathchange
- 공휴일진료병원찾기
- 코로나변이
- Sengstaken-Blakemore tube ballooning
- 공휴일내과
- 코로나격리해제기준
- 설날진료병원
- 수술금액확인
- 독감예방접종금액
- 복막투석액종류
- Today
- Total
ISFJ간호사
중국발 코로나 확진자 관리 방법 및 입국자 검사 관리 본문
이번 포스팅은 최근 중국에서 입국하는 관광객 및 단기체류 외국인중에 코로나 확진자가 많아서
검사 관리에 들어간다고 들었는데 어떻게 관리를 하는지는 나와있는 곳이 없더라고요
그래서,, 제가 궁금해서 올려보는 포스팅!
【 중국발 입국자 검사관리 】
➊ 국내 거소지가 불분명한 단기체류 외국인은 입국 즉시 공항검사센터에서 유료 검사를 실시하고, 검사결과를 즉시 Q-CODE 시스템에 등록
➋ 국내 거소지가 분명한 내국인·장기체류 외국인은 입국 이후 1일 이내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PCR 검사 실시
* Q-CODE 입력주소와 실제 체류지가 다른 경우에는 체류지역 관할 보건소에서 검사 관리
- 입국 1일 차 검사에 대해 체류지 이동 전 공항에서 안내 중이며,
* 중국·홍콩·마카오 출발 대한민국 입국자를 위한 코로나19 안내문 배포
- 보건소는 검사결과가 등재되지 않은 입국자에 대해 유선 통화 등 방법으로 검사 안내
➌ 따라서 지자체는 검사 대상자 확인을 위해 장·단기 체류를 구분할 필요가 없으며,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에서 검사 결과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장기체류자에 해당하므로 이 경우에는 유선으로 연락하여 검사 독려
【 중국발 입국자 격리관리 】
➊ 해당 지자체로 분류된 중국발 외국인 입국자 중 양성결과 등록자에 대해서는 장·단기 체류 구분 없이 격리 조치 및 관리 시행
➋ 보다 철저한 관리를 위해 수시로 유선 점검, 필요시 불시 방문점검을 통해 격리수칙 준수 및 격리지 이탈 여부 확인
【 임시재택격리시설 확충 및 관리 】
➊ 현재 국내 거주지가 없는 외국인의 자가격리를 위해 인천지역 호텔 3개소(113실 205명)와 전국에 52개 임시재택격리시설을 지자체가 지정 운영하고 있음
- 격리에 따른 숙박비와 식사비는 자부담이고, 격리 거부 및 비용 미지불자는 관련 법령에 따라 강제퇴거 및 재입국 제한 등 처벌 예정
➋ 기 지정된 숙박시설이 없거나 수용인원을 초과하는 외국인 확진자 발생을 대비하여 지자체가 선제적으로 충분한 예비시설 확보 예정
□ 위와 같은 사항들은 중국발 입국자 대상 방역조치 강화 과정에서 공문으로 시도 및 보건소에 전달되었으며, 이후에도 지자체와 관리 현황을 공유하고, 현장 애로사항을 신속히 개선하는 등 방역 조치들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협력할 예정이다.
□ 한편, 중국발 입국자 대상 사전 음성확인서 제출* 의무화(1.5.~) 이후 무증상 단기체류 외국인의 양성률이 31.4%(1.4.)에서 12.6%(1.5.)로 60%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.
* 출발일 기준 PCR 음성확인서(48시간) 또는 전문가용 RAT 음성확인서(24시간)
○ 향후 추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나, 입국 전 검사 의무화 조치가 양성자 입국을 줄이는 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.
□ 질병청은 중국발 입국자 대상 사전 음성확인서 제출 및 Q-CODE 이용, 입국 이후 1일 내 PCR 검사 의무화 등 해외 여타 국가에 비해 선제적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.
○ 특히 중국발 해외 유입 확진자 검체 전수 전장 유전체 분석을 통해 변이 감시를 강화하고 있으며, 미국, 일본 등 주요국과 중국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정보 공유 등 감시·대응 공조를 강화*하고 있다.
* 미국 보건부·CDC(1.4.),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(1.5.)와 회의 개최하였으며, 양국은 한국이 보유한 중국 입국자 변이검사(전장 유전체 분석) 결과에 큰 관심
질병관리청 회의결과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팅되었습니다!
'의료 정보 나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로나 19 중증도 및 사망 관련 위험 인자 (0) | 2023.01.18 |
---|---|
B형 간염 검사 결과 확인하는 방법, B형 간염 항원 항체 확인, B형 간염 전염성 (0) | 2023.01.12 |
국가 건강 검진 예약 방법 및 국가 건강 검진 검사 항목 (0) | 2023.01.10 |
만성 코로나19증후군(Long COVID) 및 코로나 후유증 (0) | 2023.01.10 |
신속 항원 검사 와 PCR검사 차이점 및 PCR검사 무료 대상자 증빙자료 (0) | 2023.01.08 |